
(서울=국제뉴스) 구영회 기자 =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통령 후보 때는 독립운동가를 팔고 대통령이 돼서는 강제징용 굴복에 이어 위안부문제까지 국민 자존감과 역사 인식을 헐값에 팔아 일본 정부의 편에 선다면 대한민국 대통령 자격이 없다"고 말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17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강제징용 배상에 구상권 청구를 하지 않겠다'고 윤석열 대통령이 일본 총리와 일본 기자 앞에서 당당하게 답함으로써 이번 방일은 최악의 굴종 외교로 판가름 났다"며 이같이 비판했다.
또 "임기가 4년 남은 한시적 대통령이 한일 양국의 식민역사를 영원히 봉인이라고 하겠다는 듯 일본이 바라는데로 말하고 움직였고 그런 대통령을 바라보는 국민의 심정은 수치를 넘어 고통 그자체였다"고 강조했다.
반면 "일본은 예상과 한치의 어긋남없이 강제동원을 비롯한 과거사에 대한 진정어린 사과 한마디 없었고 일본 총리는 일본정부는 1998년 10월 발표한 공동선언을 통한 역사인식과 관련해 역대 내각 인식을 앞으로도 계속 계승한다는 형식적 언급만 했을 뿐"이라고 지적했다.
그런데도 "일본의 일방적 무역 보복 조치에 죄다 항복을 선언하고 말았고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는 조건 없이 정상화됐으며 조건부종료 유예였던 화이트리스트 조치는 긴밀히 논의한다고 말만했지 원상회복을 약속받지 못하는 등 대체 어디에 우리 국익이 있고 어디에 국민의 뜻이 조금이라도 반영됐는지 개탄스럽다"고 꼬집었다.
또한 "강제동원 피해 배상과는 아무상관 없이 급조된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에는 일본 기업 참여가 현재까지도 정해지지 않았고 양국 경제단체 등 각각 15억씩 총 20억원을 미래 기금을 창설한다고 밝혔을뿐이며 일본 전범기업이 미래 기금 조성에서 빠졌다"고 비난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더 충격적인 것은 일본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2015년 위안부 합의를 이행할 것을 요구했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며 "윤석열 대통령이 말하는 미래가 강제징용 굴욕을 넘어 위안부 문제까지 면죄부를 주는 것인지 명백하게 밝힐 것"을 촉구했다.
구영회 기자 asianews24@gmail.com
<국제뉴스에서 미디어N을 통해 제공한 기사입니다.>